기타
한국 내 화산
궁금한자
2025. 4. 23. 22:20
반응형
한국(한반도)에는 공식적으로 분류된 주요 화산이 3개 있습니다. 이들은 백두산, 한라산, 울릉도(성인봉)입니다. 그 외에도 추가령(오리산, 검불랑 분화구 등)이나 칠보산, 금강산 등 여러 화산 기원이 있는 산들이 있지만, 대표적인 화산으로는 이 세 곳이 가장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.
한국의 대표 화산과 분류
화산명 위치 분류 마지막 분화 시기 비고
백두산 | 북한/중국 국경 | 활화산(휴화산) | 1903년(소규모), 946년(대분화) | 최근에도 활동 징후 있음 |
한라산 | 제주도 | 활화산(휴화산) | 1007년 | 제주도 전체가 화산섬 |
울릉도(성인봉) | 경북 울릉군 | 활화산 | 기원전 2990년 | 최근 연구에서 활화산으로 분류 |
분류 기준
- 활화산: 최근 1만 년 이내에 분화 기록이 있거나, 현재도 마그마 활동(가스 분출 등)이 관측되는 화산.
- 휴화산: 최근 분화 기록은 있으나 현재 뚜렷한 활동이 없는 화산. (사실상 활화산에 포함되기도 함)
- 사화산: 분화 기록이 매우 오래됐고, 내부 마그마 활동도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 화산.
각 화산의 분류 설명
- 백두산: 최근 1,000년 이내(1903년)에 소규모 분화 기록이 있고, 946년에는 대규모 분화가 있었습니다. 현재도 지진, 온천, 가스 분출 등 활발한 지질 활동이 관측되어 '활화산(휴화산)'으로 분류됩니다.
- 한라산: 1007년에 마지막 분화가 있었고, 제주도 전체가 화산섬입니다. 최근 분화 기록은 없지만 지질학적으로 '활화산(휴화산)'으로 분류됩니다.
- 울릉도(성인봉): 기원전 2990년경 마지막 분화가 있었고, 최근 연구에서 지하수 내 화산가스 성분 분석 결과, 여전히 마그마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'활화산'으로 분류됩니다.
기타 화산
- 추가령(오리산, 검불랑 분화구 등): 북한 지역에 위치, 분화 시기 불명이나 홀로세(1만 년 이내) 분화 가능성 있음.
- 칠보산, 금강산 등: 사화산으로 분류되며, 현재는 화산 활동이 없는 것으로 간주됩니다.
정리
- 활화산: 백두산, 한라산, 울릉도(성인봉)
- 휴화산: 백두산, 한라산(활화산과 휴화산의 경계가 모호하며, 보통 최근 1만 년 이내 분화 기록이 있으면 활화산으로 봅니다)
- 사화산: 칠보산, 금강산 등 일부 북한 지역 산
현재 한반도에서 공식적으로 '활화산'으로 분류되는 곳은 백두산, 한라산, 울릉도 세 곳입니다. 이들은 모두 최근 1만 년 이내 분화 기록이 있고, 특히 백두산과 울릉도는 최근에도 마그마 활동이 감지되고 있습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