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활
TV소리는 작게 들리는데 왜 발망치는 크게 들리는가?
궁금한자
2025. 5. 2. 06:30
반응형
아파트에서 TV 소리는 위아래 집에 잘 안 들리는데, 발망치(쿵쿵 걷거나 물건을 떨어뜨리는 소리)나 발소리가 크게 들리는 이유는 소리의 크기(데시벨) 때문이 아니라, 소리의 전달 방식과 아파트 구조적 특성, 그리고 진동의 영향 때문입니다.
1. 소리의 종류와 전달 방식
- TV 소리, 음악, 대화 등은 공기(공기 중)를 통해 전달되는 '공기 전달음(airborne sound)'입니다.
- 발망치, 걷는 소리, 물건 떨어뜨리는 소리는 바닥이나 벽을 통해 직접 전달되는 '구조 전달음(impact sound, structure-borne sound)'입니다.
2. 왜 TV 소리는 잘 안 들리고, 발소리는 크게 들릴까?
공기 전달음(예: TV 소리)
- TV 소리는 벽, 바닥, 천장 등 건축 구조를 통과할 때 대부분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위아래 집으로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.
- 아파트 벽과 바닥은 공기 전달음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어, TV 소리나 말소리는 옆집, 위아래 집에 거의 들리지 않거나 아주 작게만 들립니다.
구조 전달음(예: 발망치, 걷는 소리)
- 발로 바닥을 세게 치거나, 물건을 떨어뜨리면, 그 충격(진동)이 바닥 전체로 퍼집니다.
- 이 진동은 콘크리트 같은 단단한 구조물을 타고 위아래 집으로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됩니다.
- 바닥이 진동판처럼 울리면서 바로 아래(혹은 위) 집의 공기를 흔들어 소리로 변환되기 때문에, 실제 소리의 크기(데시벨)가 크지 않아도 훨씬 크게, 낮고 둔탁하게 들립니다.
- 특히 저주파(낮은 주파수) 소리는 건물 구조를 타고 멀리까지 전달되며, 차단도 어렵습니다.
3. 데시벨(소리의 크기) 차이 때문일까?
- 실제로 TV 소리(70~80dB)와 발망치 소리(실내에서 60~80dB) 모두 비슷한 크기로 측정될 수 있지만, 발망치 소리는 바닥을 통해 직접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체감상 훨씬 더 크게, 더 멀리 들립니다.
- 즉, 단순히 데시벨만의 문제가 아니라, 소리가 전달되는 경로와 구조적 진동의 영향이 더 큽니다.
4. 아파트 구조적 문제와 진동의 영향
- 아파트 바닥, 벽, 천장은 공기 전달음(예: TV 소리) 차단에는 효과적이지만, 구조 전달음(충격음) 차단에는 한계가 있습니다.
- 바닥 마감재(장판, 카펫 등)가 두껍고 충격 흡수력이 좋을수록 발소리·충격음이 덜 전달됩니다.
- 구조적으로 바닥이 얇거나, 방음·방진 설계가 미흡하면 발소리, 발망치 소리가 더 크게 전달됩니다.
5. 결론
- TV 소리 등은 공기를 통해 전달되어 벽과 바닥에서 대부분 차단되지만,
- 발망치, 걷는 소리 등은 바닥을 타고 직접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위아래 집에 훨씬 크게 들립니다.
- 소리의 데시벨(크기) 때문이 아니라, 진동이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방식과 아파트의 구조적 특성 때문입니다.
반응형